범어사 썸네일형 리스트형 금정산 등산코스(금정산성 동문~북문~금샘~고당봉~범어사) 부산 금정구와 양산시에 걸쳐 솟아 있는 금정산에는 하늘에서 금빛 물고기 한 마리가 내려와서 노닐었다는 산정 우물이 있다. 금정산 최고봉은 고당봉(801m)이며 국내에서 가장 큰 산성이라는 금정산성이 금정산 능선과 계곡에 축성되어 있다. ☆ 금정산성 동문 버스정류소에서 산행을 시작해→동문→3망루→4망루→의상봉→ 원효봉→북문→세심정→고당샘→금샘을 거쳐 고당봉에서 범어사로 하산하였다. 온천장 지하철역 건너편에서 203번 시내 버스를 타고 동문 버스정류소에서 하차하여 산행 채비를 마치고 동문으로 올라갔다. 동문을 통과하여 오른쪽으로 널찍하고 숲이 울창한 등산로를 15분 넘게 올라가자 3망루 0.45km 이정표가 눈에 들어왔다. 여기에서 널찍한 등산로를 버리고 3망루 이정표를 따라 좁은 산길을 잠시 진행하자 왼쪽.. 더보기 금정산 서릉 등산코스 (율리역~미륵봉~고당봉~범어사) 부산에서 가장 높은 산, 금정산(801m)의 주봉은 고당봉으로 영남 3대 사찰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범어사가 위치하고 있다. 고당봉에서부터 금정산 주능선에서 벗어나 남서쪽으로 낙동강까지 이어지는 능선을 보통 금정산 서릉이라 부른다. ♧ 부산 금곡동 율리역에서 금정산 산행을 시작해→물리재 석문→제2금샘→미륵봉→ 고당봉→북문을 거쳐 범어사로 하산했다. 부산 금곡동 율리역 4번 출구에서 좁은 도로를 따라가자 등산로가 시작되는 율리 바위그늘 유적 입구에 금방 도착했다. 여기에서 신석기시대 집터와 마제석촉 등 여러 유물들이 발견된 율리 바위그늘 유적까지 올라가는데 5분 정도 걸렸다. 율리 바위그늘 유적을 지나자 잠시 후에 인재 개발원 방향의 갈림길이 나타났다. 이 갈림길에서 오른쪽 고당봉 방향으로 좁은 산길을 5.. 더보기 금정산 범어사~은동굴~장군봉~장군평전 등산코스 겨울의 문턱이 저만치 보이는 가을의 끝자락에 금정산 장군봉을 찾아서 늦가을 정취를 즐겼다. 금정산 주봉인 고당봉(801m) 북쪽에 솟아 있는 장군봉(737m)은 호젓하면서 암릉과 억새를 즐길 수 있는 곳이다. ♧ 범어사에서 금정산 산행을 시작하여 사배고개→은동굴→장군봉→장군평전→ 장군샘을 거쳐 범어사로 하산하였다. 범어사 입구를 지나서 일주문으로 올라가지 않고 오른쪽 차도를 따라서 쭉 올라가서 수령 600여 년의 범어사 은행나무 밑에서 산행 채비를 했다. 범어사에서 계명암, 내원암 입구를 지나서 조금 더 올라가서 오른쪽으로 방향을 틀자 사배고개에 도착했다. 범어사에서 양산 쪽으로 넘어가는 사배고개에서 왼쪽으로 보이는 작은 다리를 건너 직진방향으로 금륜사를 향하여 완만한 산길을 진행하였다. 사배고개에서 금.. 더보기 늦가을에 찾은 금정산 계명봉 ~ 장군봉 등산코스 어느덧 가을의 끝자락, 겨울의 문턱을 향해 달리는 늦가을을 즐기려 금정산을 찾았다. 범어사 북동쪽에 솟아 있는 계명봉은 새벽에 닭 울음소리가 가장 먼저 들리는 산이라고 하며, 범어사 북서쪽의 장군봉 정상 밑에는 장군평전이 펼쳐져 있다. ♧ 범어사에서 금정산 등산을 시작하여→ 계명암→계명봉→사배고개→장군평전→ 장군봉→은동굴 갈림길→질매재를 거쳐 양산시 다방삼거리 코스로 산행하였다. 범어사 입구에 들어서자 범어사에 있는 삼국유사 국보 승격을 축하하는 현수막이 완연한 가을빛 속에 높이 걸려있었다. 범어사 입구에서 대웅전 방향으로 진행 하지 않고 오른쪽 차도를 따라서 올라가자 설법전 앞쪽 은행나무 아래에 도착했다. 설법전 마당에서 단풍으로 물들어 가는 계명봉을 바라보고 내원암 입구를 지나자 계명암, 계명봉 이정..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