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남쪽에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는
경주 남산은 고위봉(494m), 금오봉(468m)
두 봉우리를 중심으로 40여 개의 계곡으로
이루어진 자연경관이 빼어난 명산이다.
2000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경주 남산은 국보, 보물급의 많은
문화재가 산재해 있는 노천박물관이다.
◇
경주시 남산동 공영주차장에서 산행을
시작→염불사지→칠불암→고위봉을 거쳐
이무기능선을 따라 용장리로 하산하였다.
남산동 공영주차장에서 칠불암 쪽으로
잠시 진행하자 (전)염불사지 삼층석탑이
하늘을 찌를 듯이 장엄하게 서 있었다.
(전)염불사지 삼층 석탑은 2층 바닥돌에
3층 몸돌을 올린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석탑으로 2022년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전)염불사지에서 2km 거리인 칠불암을
향하여 13분쯤 진행하여 조경농원과 사과
과수원을 지나자 탐방로 안내도가 보였다.
경주 남산 역사문화 탐방로 안내도가
서 있는 곳에서 완만한 숲길을 25분 정도
진행한 후에 제법 가파른 산길을 10분쯤
더 치고 올라가자 대안당에 도착했다.
대안당 왼쪽의 약수터에서 목을 축이고
대숲 사이의 돌계단을 올라가자 국보인
마애불상군이 있는 칠불암에 도착했다.
칠불암 큰 바위에는 삼존상이, 큰 바위
앞쪽의 사각바위에는 면마다 석불좌상이
새겨져 있어 칠불암이라 부른다고 한다.
2009년에 국보로 지정된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군은 8세기 작품이라고 한다.
칠불암 뒤편의 낭떠러지 정상 암벽에는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이 자리 잡고 있다.
칠불암 마애불상군 오른쪽으로 진행하여
대숲을 지나서 까칠한 바윗길과 계단을 타고
올라가자 멋진 조망이 트이기 시작하였다.
바윗길과 계단을 올라가서 공터에서
왼쪽으로 잠시 내려가자 보물로 지정된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에 도착하였다.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과 주변 풍경을
감상하고 다시 공터에서 경사진 큰 바위를
타고 갈림길이 있는 능선으로 올라갔다.
이 갈림길에서 왼쪽으로 완만한 능선길을
4~5분쯤 올라가자 또 갈림길이 나타났다.
직진 방향은 새갓골 쪽으로 진행하는
갈림길에서 오른쪽 내리막길을 내려가서
계속 산행하자 백운재에 도착하였다.
백운재에서 고위봉을 향하여 완만한
오름길을 13분쯤 올라가서 등산로 왼쪽
아래에 보이는 전망바위로 내려갔다.
전망바위에서 다시 등산로에 복귀하여
쉼터 뒤편의 바위 오른쪽으로 지나가자
잠시 후에 고위봉 정상에 도착하였다.
고위봉 정상석 왼쪽 아래에 있는 산불
초소 옆에서 영남알프스와 천룡사지 등
주변 풍경을 감상하면서 땀을 식혔다.
산불감시초소에서 다시 정상으로
되돌아와서 이무기 능선을 향하여
정상표지석 오른쪽으로 내려갔다.
정상에서 잠시 하산하여 시멘트로
포장된 공터를 지나자 경주 남산에서
가장 역동적이면서 험한 등산 코스로
알려진 이무기 능선이 시작되었다.
작은 공터를 지나자 곧바로 시작되는
험한 암릉 사이로 계단을 내려가면서도
금오봉과 주변 풍경 계속 감상하였다.
까칠한 비탈길과 암릉 사이로 이어지는
계단을 내려가서 숲길을 잠시 진행하자
또 암릉과 험난한 바윗길이 나타났다.
분재 같은 소나무들이 자리 잡고 있는
암릉에서 천우사 1.4km 이정표를 따라
바위를 타고 조심스럽게 하산하였다.
암릉 끝에서 가파른 바윗길를 타고
조심스럽게 하산하여 계단을 내려가자
큰 바위로 올라가는 계단과 마주쳤다.
큰 바위로 올라가자 반대쪽으로 내려가는
암벽에는 두 가닥 긴 밧줄이 걸려 있었다.
밧줄을 잡고 큰 바위를 내려가서 숲길을
지나가자 또다시 바위 능선이 나타났다.
깊은 용장골 계곡이 보이는 암릉 끝에서
왼쪽으로 미끄러운 비탈길을 거쳐 제법 긴
계단을 내려가자 숲길이 잠시 이어졌다.
숲길을 따라서 잠시 내려가자 또 멋진
조망이 펼쳐지는 암릉이 시작되었다.
고위봉에서 이무기 능선으로 하산하는
길의 마지막 암릉 끝에 도달하자 쌍봉인
태봉이 확실하게 모습을 드러내었다.
하산길 마지막 암릉에서 태봉을 뒤로하고
천우사 0.5km 이정표를 따라 쭉 내려가자
거칠고 경사진 바윗길이 잇따라 나타났다.
이무기 능선 하산길의 마지막 암릉에서
쭉 하산하여 천우사로 가는 개울을 건너지
않고 오른쪽 용장골로 곧바로 내려갔다.
용장골에서 땀을 씻어내고 용장골
출입구의 출렁다리를 건너 용장마을에
도착하여 경주 남산 산행을 마쳤다.
◇
경주시 남산동 공영 주차장에서 산행을
시작해→칠불암→고위봉→이무기 능선
→용장리로 하산하는 남산 등산 코스는
휴식을 포함해 4시간 40분 소요되었다.
(위 경주 남산 등산지도를 참고하세요.)
2023년 11월 피크진
'국립공원 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풍 명산 내장산 등산코스 (0) | 2022.11.07 |
---|---|
경주 토함산 등산코스 (마동 탑마을~석굴암~불국사) (0) | 2022.04.23 |
남해 금산 ~ 보리암 등산코스 (0) | 2022.02.02 |
북설악산 성인대(신선대) 산행코스 (금강산 화암사 숲길) (0) | 2021.12.02 |
주왕산 등산코스 (절골~가메봉~용추협곡~대전사) (0) | 2021.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