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

남해 금산 ~ 보리암 등산코스 온 산에 비단을 두른 듯 아름답다는 남해 금산(錦山)은 한려해상 국립공원에 속하는 우리나라의 100대 명산이다. 남해 금산 정상 남쪽에 600m 높이의 해발 고도에 자리한 보리암은 우리나라 3대 기도처로 널리 알려진 사찰이다. ♧ 경남 남해군 상주면 두모 주차장에서 시작하여→부소암→상사바위→금산 산장 →제석봉→금산 정상→보리암→쌍홍문을 거쳐 금산 주차장까지 산행을 즐겼다. 두모 주차장에서 두모계곡을 따라 금산 부소암으로 이어지는 등산코스는 2013년에 새로 개방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두모 주차장 금산 등산로 입구 왼쪽에 역사적 기록이나 정확한 물증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중국 진시황 시대의 인물상이 세워져 있어 볼썽사나웠다. 두모 주차장에서 완만한 등산로를 15분쯤 올라가서 나무다리를 건너자 조금 후에 양아.. 더보기
부산 복천동 고분군과 동래읍성을 찾아서 동래읍성은 임진왜란이 일어날 때 왜군의 1차 공격목포가 되어 송상현 동래부사를 중심으로 장렬한 전투가 벌어졌던 임란 초기의 격전지였다. 복천동 고분군은 6세기 이전의 가야문화의 번성을 보여주는 200여 기의 지배층 무덤에서 보물 제598호 말머리장식 뿔잔을 비롯하여 1만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고 한다. 맹추위와 칼바람이 물러나고 평상 기온을 회복한 나른한 오후에 복천동 고분군과 동래읍성으로 올라갔다. 동래시장을 지나서 오래전 동래여고 자리에 들어선 아파트 단지 오른쪽으로 올라가자 복천동 고분군에 도착했다. 복천동 고분군이 있는 구릉에는 한국전쟁 이후에 판잣집들이 빼곡히 들어서 있었는데, 1969년 주택 수리 중에 우연히 발견되었다고 한다. 복천동 고분군 야외전시장에는 53호 무덤과 54호 무덤이 복원 .. 더보기
거제도 최고봉 가라산 코끼리바위 등산코스 임인년 새해 벽두에 거제도에서 가장 높은 가라산을 찾아 코끼리바위 등산코스를 따라 산행을 즐겼다. 숲이 울창하고 계절 변화가 뚜렷해 비단같이 아름답다는 가라산(加羅山) 정상에는 봉수대 유적이 남아 있다. 거제도 가라산 산행을 남부면 저구리 아홉산재에서 시작→코끼리바위→장재샘 →망등 전망대→가라산 정상→탑포마을 위 도로에서 아홉산재로 원점회귀하였다. 산행을 시작한 아홉산재는 탑포리와 저구리를 이어주는 고개로 동쪽에는 가라산이, 서쪽에는 왕조산이 있다. 아홉산재에 있는 정자 맞은편으로 도로를 건너가자 누군가 은빛 쟁반으로 만든 코끼리바위 이정표가 서 있었다. 아홉산재에서부터 가파른 산길을 15분 정도 올라가자 첫 번째 암릉과 마주쳤다. 정면에 나타난 암릉 왼쪽으로 진행하여 거친 바윗길을 올라가자 왕조산을 비.. 더보기
영남알프스 문복산 등산코스 (드린바위 코스) 경북 경주시와 청도군에 걸쳐 솟아 있는 문복산(1014m)은 영남알프스 9봉 가운데 가장 북쪽에 위치한 명산이다. 신라 화랑들이 무술을 수련하던 곳인 문복산은 화랑도 세속오계의 발상지인 가슬갑사지를 비롯하여 계살피 계곡과 드린바위 등 여러 명소를 품고 있다. 경주시 산내면 대현3리 중리에서 산행을 시작하여→드린바위→문복산 정상과 너럭바위→학대산→신원봉을 거쳐 대현3리 A지구로 하산하였다. 대현3리 중리 정류소에서 문복산 방향으로 마을 쉼터를 지나자 웅장한 문복산 드린바위가 눈에 들어왔다. 드린바위(코끼리바위)를 눈에 담고 대현3리 복지회관을 지나서 왼쪽으로 방향을 틀어 문복산으로 올라갔다. 문복산 이정표를 따라 올라가자 조금 후에 갈림길에서 드린바위로 곧바로 올라가는 등산로는 식수원 보호 관계로 폐쇄되어.. 더보기
북설악산 성인대(신선대) 산행코스 (금강산 화암사 숲길) 북설악 성인대 산행코스는 금강산 1만 2천 봉 가운데 첫 번째 봉우리라는 신선봉 자락의 화암사에서 시작되므로 '금강산 화암사 숲길'이라고 한다. 북설악산 성인대에서 울산바위를 가까이 볼 수 있으며, 속초 앞바다도 눈에 담을 수 있는 멋진 명소이다.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신평리 화암사 일주문에서 북설악산 산행을 시작하여 수암전→수바위→시루떡바위→성인대 →삼거리를 거쳐 화암사로 하산했다. 화암사 제1 주차장을 빠져나가자 곧바로 화암사 일주문과 마주쳤다. 화암사 일주문에는 '금강산 화암사'라 쓰인 큼직한 편액이 높이 걸려있었다. 일주문을 통과하여 도로를 10분 정도 올라가자 수바위로 올라가는 등산로가 시작되는 '수암전'이란 매점이 보였다. 화암사는 하산할 때 관람하기로 하고 매점 앞 금강산 화암사 숲길 안내도.. 더보기
늦가을 온천천 산책 늦가을 주말에 오랜만에 집 앞 온천천에서 산책을 즐겼습니다. 오전이라 그런지 아직 산책하는 사람들이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구청에서 온천천변에 꽃밭을 만들어 산책하는 발걸음을 더 가볍게 합니다. 온천천 산책로에 억새가 한창입니다. 물가에서 억새도 꽃을 피웠네요... 날씨가 추워지자 바글거리던 물고기가 많이 보이지 않습니다. 늦가을 온천천에서 잉어 한 쌍이 한가롭게 헤엄치고 있습니다. 왜가리 녀석은 목을 잔뜩 움츠리고 무슨 생각에 깊이 빠져 있을까요...? 점심거리를 장만한 녀석도 있네요. 부산대 지하철역 아래에서 하루 종일 기타 치고, 노래 부르고, 나팔을 부는 친구들은 지치지도 않나요. 부산대역에서 장전역 방향으로 바쁠 것 없는 걸음을 옮겨 갑니다. 가을빛에 물든 온천천에 전시되어 있는 여러 가지 조형.. 더보기
금정산 범어사~은동굴~장군봉~장군평전 등산코스 겨울의 문턱이 저만치 보이는 가을의 끝자락에 금정산 장군봉을 찾아서 늦가을 정취를 즐겼다. 금정산 주봉인 고당봉(801m) 북쪽에 솟아 있는 장군봉(737m)은 호젓하면서 암릉과 억새를 즐길 수 있는 곳이다. ♧ 범어사에서 금정산 산행을 시작하여 사배고개→은동굴→장군봉→장군평전→ 장군샘을 거쳐 범어사로 하산하였다. 범어사 입구를 지나서 일주문으로 올라가지 않고 오른쪽 차도를 따라서 쭉 올라가서 수령 600여 년의 범어사 은행나무 밑에서 산행 채비를 했다. 범어사에서 계명암, 내원암 입구를 지나서 조금 더 올라가서 오른쪽으로 방향을 틀자 사배고개에 도착했다. 범어사에서 양산 쪽으로 넘어가는 사배고개에서 왼쪽으로 보이는 작은 다리를 건너 직진방향으로 금륜사를 향하여 완만한 산길을 진행하였다. 사배고개에서 금.. 더보기
주왕산 등산코스 (절골~가메봉~용추협곡~대전사) 가을이 저물어가고 겨울의 문턱에 들어서는 입동 전날에 주왕산을 찾았다. 주왕산은 우리나라의 12번째 국립 공원으로 지정된 명산으로 산의 모습이 마치 바위로 병풍을 친 것 같다고 하여 석병산(石屛山)으로 불렀다고 한다. ♧ 경북 청송군 주왕산면 주산지리 절골 입구에서 산행을 시작하여→절골 계곡→ 가메봉→후리메기→용연폭포→용추협곡 →주왕굴을 거쳐 대전사로 하산하였다. 주산지와 절골 계곡으로 길이 나뉘는 삼거리에서 10분쯤 걸어가자 국립공원 탐방지원센터 절골 분소에 도착했다. 탐방지원센터에서 예약 확인을 하고 절골에 들어서자 가을이 절정이었다. 탐방지원센터 절골 분소에서 단풍을 즐기면서 완만한 절골 등산로를 1시간쯤 계속 올라가자 대문다리에 도착했다. 대문다리에서 10분쯤 더 올라가서 절골 계곡의 마지막 물길.. 더보기
사슴이 새끼를 안고 있는 산 - 거제 포록산의 멋진 조망 가을이 여물어 가는 10월 마지막 주말에 거제도 본가에 들르는 길에 오랜만에 포록산(280m)을 찾았다. 어미 사슴(鹿)이 아기 사슴을 안고 있는(抱) 듯한 산세인 포록산(抱鹿山)은 높이에 비하여 조망이 멋진 산이다. (抱 안을 포 / 鹿 사슴 록) 똑같은 이름을 가진 산들이 무수히 많지만 이렇게 멋진 이름의 포록산은 우리나라에서 유일무이한 것 같다. 조망이 빼어난 9부 능선 전망바위에 비해 포록산 정상은 훌쩍 자란 나무에 가려 조망이 예전만큼 좋지 않았다. ☆ ☆ 2021년 10월 더보기
울산 문수산 ~ 남암산 등산코스 울산 문수산(599m)은 산세가 맑고 깨끗하여 처음엔 청량산이라 했으며 문수보살이 살았던 산이라고 하다. 남암산(544m)은 영남알프스 간월산, 신불산 쪽에서 바라보면 문수산 남쪽에 문수산과 닮은꼴로 나란히 솟아 있다. ♧ 울산 울주군 청량읍 영해마을에서 산행을 시작하여 망해사→깔딱고개→ 문수산 정상→문수사→남암산 정상을 거쳐 웅촌면 대복마을로 하산했다. 영해마을 청량농협 앞을 지나서 오른쪽 도로를 진행하자 잠시 후에 문수산 등산로 입구에 도착했다. 널찍한 등산로를 따라서 3~4분 정도 올라가서 갈림길에서 왼쪽으로 10분쯤 더 산행하자 망해사 이정표가 보였다. 등산로를 벗어나서 망해사 뒤쪽에 위치한 보물 제173호(1963년 지정) 망해사지 승탑을 먼저 관람하였다. 망해사(望海寺)는 신라 헌강왕 때 동해.. 더보기

728x90